DeepSeek 일명 '딥시크'는 중국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입니다. 2025년 1월 10일에 자사의 AI 챗봇인 DeepSeek-R1을 출시했습니다. DEEPSEEK 챗봇은 출시 후 빠르게 인기를 얻어, 미국 iOS 앱 스토어에서 ChatGPT를 제치고 가장 많이 다운로드된 무료 앱으로 급부상했습니다.
현재 딥시크 사용 제한 현황
2/17일 기준으로 한국에서는 정부부처 및 다수 지자체에서 접속을 차단시켰습니다. 또한 2월 15일 이후 신규 앱 다운로드를 차단시켜 놓았습니다. 일본에서는 공무원 딥시크 사용을 제한했습니다. 미국에서는 뉴욕과 텍사스주의 정부 소유기기에서 사용을 금지시켰습니다. 또한 미 해군과 우주항공국(NASA)에서는 딥시크에 대한 접근을 차단했습니다. 이탈리아는 딥시크 애플리캐이션(앱) 다운로드를 차단시켰고, 대만은 각 부처 기관(공공부문)에서 사용을 금지시킨 상황입니다. 이러한 사유는 기밀정보 및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우려가 가장 큰 원인입니다.
딥시크 장점
- 고성능 AI 모델
- DeepSeek-R1은 6000억 개 이상의 매개변수를 가진 DeepSeek-V3 모델을 기반으로 합니다.
- 국제적인 AI 모델과 견줄 만큼 뛰어난 성능을 보이며, 정확한 답변과 자연스러운 대화가 가능합니다.
- 빠른 응답 속도
- 기존 AI 챗봇보다 속도가 빠르며, 실시간 대화 처리 능력이 우수한 편입니다.
- 사용자 경험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지연 없이 자연스러운 대화 진행이 가능합니다.
- 무료 사용 가능
- DeepSeek AI는 무료로 제공되는 AI 챗봇으로 많은 사용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 특히 중국 내에서는 ChatGPT를 대체할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다양한 활용 가능
- 번역, 문서 작성, 코딩 보조, 학습 지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합니다.
- 기업 및 개인 사용자 모두에게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 중국 시장에서 강력한 경쟁력
- ChatGPT가 제한된 중국 내에서 DeepSeek은 빠르게 AI 시장을 점유하고 있습니다.
- 자체 AI 검색 엔진 및 챗봇 기술을 통해 중국 내 AI 산업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딥시크 단점
- 개인정보 보호 문제
- 한국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서 DeepSeek의 개인정보 처리 방식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며 현재 신규 다운로드가 중단된 상태입니다.
- 보안 및 데이터 보호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사용자들은 신중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 중국 정부의 검열 가능성
- DeepSeek AI는 중국 기업에서 개발한 모델이므로, 정부의 검열 및 정보유출 위험 가능성이 있습니다.
- 특정 주제에 대해 제한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검열된 콘텐츠만 답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신뢰성 문제
- AI 챗봇 특성상 가끔 부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가짜 뉴스나 잘못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답변할 수도 있어 신뢰성의 문제가 있습니다.
- AI 챗봇이 제공하는 정보는 100% 신뢰하기보다는 검증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 서비스 안정성 문제
- 최근 사이버 공격을 받아 신규 사용자 등록을 제한하는 등 보안 문제에 직면한 적이 있습니다.
- 향후 서비스가 안정적으로 유지될지에 대한 불확실성이 존재합니다.
- ChatGPT 등 기존 모델과의 차별성 부족
- ChatGPT, Claude, Gemini 등과 비교했을 때 특별한 차별점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 후발주자이기에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혁신이 필요합니다.
[관련뉴스]
[AI PICK] 중국 AI ‘딥시크’ 한국 서비스 중단 왜?
[CEONEWS=이재훈 기자] 중국의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 ‘딥시크’가 개인정보 보호 문제를 이유로 한국 시장에서 서비스를 중단했다. 하지만 단순히 개인정보 보호 규제 때
im.newspic.kr
중국 AI 딥시크, 국내 서비스 잠정 중단...“보완 후 재개”
최장혁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부위원장이 2월 17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딥시크 진행상황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사진=개인정보위) [소비자경제] 이동윤 기자 = 정부가
im.newspic.kr
주요국 딥시크 이용 제한 현황
사진/연합뉴스 과도한 개인정보 수집 등으로 논란을 빚는 중국의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가 국내 신규 서비스를 잠정 중단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17일 딥시크 애플리케이션의
im.newspic.kr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VR AR MR 정의 및 XR 기술 활용 (0) | 2025.02.21 |
---|---|
혜택 많은 신용카드 추천 BEST5 (2) | 2025.02.19 |
Z세대 누구인가, 특징과 트렌드 (0) | 2025.02.18 |
금값 상승으로 콩알금 모으기 금테크 유행 (0) | 2025.02.17 |
금값 시세 상승 원인 및 향후 가격 전망 (0) | 2025.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