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꿀팁

정월대보름 날짜 유래 및 행사 음식

by 포인트인포메이션 2025. 2. 10.
반응형

 

정월대보름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정월대보름에는 한해의 건강을 기원하면서 부럼을 깨물고, 오곡밥과 나물을 먹는 풍습이 있습니다. 오늘은 정월대보름(음력 1월 15일)이 언제인지, 유래와 주요 풍습, 먹는 음식과 행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자 합니다.


1. 정월대보름 언제?

  • 2025년 2월 12일(요일)

정월대보름은 음력 1월 15일을 말하며 새해 들어 첫 번째 보름달이 뜨는 날입니다. 

한 해의 건강과 풍요를 기원하는 전통이 있으며 다양한 행사와 음식, 풍속 등이 있습니다. 

2. 정월대보름 유래

정월대보름은 예로부터 농경사회에서 중요한 절기로, 한 해의 농사가 잘되기를 기원하는 날입니다. 

한국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정월대보름을 기념해 온 기록이 있으며, 조선 시대에도 궁궐과 민간에서 정월대보름 관련 다양한 행사를 열었다고 전해져오고 있습니다. 

3. 정월대보름의 주요 행사 및 풍습

부럼 깨기

  • 정월대보름 아침에 호두, 땅콩, 잣, 밤 등 껍질이 있는 견과류를 깨물어 먹는 풍습이 있습니다. 
  • "부럼을 깨면 한 해 동안 부스럼이 나지 않는다"는 속설이 있으며 많은 가정집에서 지키는 풍습 입니다.

귀밝이술 마시기

  • 아침에 청주(맑은 술)를 한 잔 마시는 풍습이 있습니다. 
  • 귀밝이술을 마시는 의미는 "한 해 동안 좋은 소식만 듣는다"는 뜻을 가집니다.

오곡밥과 나물 먹기

  • 5가지 곡물을 이용해 오곡밥(찹쌀, 수수, 팥, 콩, 조 등)을 지어 먹습니다.
  • 곁들여 나물(고사리, 도라지, 시래기, 마른호박 등)을 함께 먹으면 여름철 더위를 타지 않는다고 합니다.

달맞이 & 달집태우기

  • 보름달이 뜨는 밤에 높은 곳에 올라 소원을 빌거나 달집을 태우는 행사를 합니다.
  • 달집의 불길이 높이 오를수록 풍년과 행운을 가져다준다고 믿는 의미가 있습니다.

쥐불놀이

  • 논밭의 해충을 없애면서 새해 농사가 잘되길 기원하며 깡통에 불을 담아 돌리는 쥐불놀이가 있습니다.
  • 쥐불놀이를 예전엔 다양한 지역에서 했지만, 요즘은 화재 위험으로 인해 일부 지역에서만 진행됩니다.

더위팔기

  • 아침에 만나는 사람에게 "내 더위 사가라!"라고 외치면 한여름 더위를 피할 수 있다고 합니다.

 

4. 정월대보름 음식

🍚 오곡밥: 건강과 풍요를 기원하며 다섯 가지 이상의 곡물로 만든 밥
🥗 묵은 나물: 겨울을 이겨내고 건강을 지키는 의미의 나물
🥜 부럼: 견과류를 깨물어 부스럼을 예방
🍶 귀밝이술: 좋은 소식을 듣기 위한 맑은 술

 

5. 지역별 정월대보름 행사

🏮 서울 남산골 한옥마을 – 전통 민속놀이 & 달맞이 행사
🔥 경북 경주 양동마을 – 달집태우기 & 풍물놀이
🎭 전남 진도 – 강강술래 & 줄다리기


 

정월대보름은 단순한 명절이라기보다 한해의 건강과 풍요 평안을 기원하는 날입니다. 정월대보름의 날짜와 간단한 유래, 행사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다가오는 정월대보름날 보름달을 보면서 가족의 건강과 행복에 대한 소원을 다같이 빌어보는건 어떨까요? 즐겁고 풍요로운 정월대보름 보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